2012년 1월 17일 화요일

신경윤리학이란 무엇인가 (3) - 6. 자기를 통제하는 자기

어제 5장 너무 재밌게 읽었는데 오늘이 더 강력함!! 6장 쵝오

p.306
중독자와 아리스토텔레스가 비자발적 행동의 사례로

소개하는 바람에 의해 어디론가 실려 간 사람

(니코마코스 윤리학, 1110a)

아니 외국 독자들은 니코마코스 윤리학 1110a 라고 하면 뭔지 다 아는갑제.

거기다 문장이 왜 저래

소개하는 바람에 의해 어디론가 실려 간 사람?

1110a 가 제 3 권, 제 1 장을 말하는 것 같은데

무슨 사례가 있다는건지

------------------------------------------------------ ( 2012-01-18 13:07 )

p.294
"마음은 구별되는 다수의 모듈과 기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황제의 새 마음 다 읽으면 생각을 또 달리 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지금으로써는 내 마음이 여러 복잡한 레벨의 하부 모듈로 이루어져 있는 게

확실한 것 같다. 이번 설에 꼭 '황제의 새 마음'을 끝내야겠다.

------------------------------------------------------ ( 2012-01-18 13:09 )

뇌는 많은 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모듈은 자신의 고유한 일을 하고 있다.

이들 중 많은 모듈들이 직접적으로나 아니면 욕구나 경향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간접적으로 행동을 촉발시킨다.

그런데도 우리의 행동은 놀라울 정도로 일관성 있게 보인다.

어떻게 이러한 조율 문제가 해결되는가?

------------------------------------------------------ ( 2012-01-18 13:10 )

'자기'를 통제하는 '자기'

플라톤 「국가」에 나오는 레온티오 이야기. 레온티오는 자기-통제력을 잃었다.

'그를 이긴 것'은 다름 아니라 바로 그의 욕구.

------------------------------------------------------ ( 2012-01-18 13:12 )

자기-통제는 왜 가치 있는가?

자기-통제는 우리가 원하는 유형의 삶을 추구하는 데 있어서 '도구적인' 가치가 있다.

지나가는 욕망들에 휘둘릴 수 없잖아.

------------------------------------------------------ ( 2012-01-18 13:13 )

자기-통제의 발달

아이들의 만족 지연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

내가 돌아올 때 까지 기다리면 마시멜로우 하나 더 줌.

4세 때의 만족 지연 능력이

청소년기와 그 이후 시기의 다양한 바람직한 특징들을 강력하게 예측한다! 오메~

------------------------------------------------------ ( 2012-01-18 13:15 )

자아 고갈과 자기-통제

저항할 수 없는 중독적 욕구

루이스 찰랜드 "헤로인 중독자의 뇌는 약물에 의해 거의 문자 그대로 납치되어 있다."

칼 엘리어트 "더 이상 자신을 충분히 통제할 수 없다.

그녀는 중독이 자신을 이끄는 대로 가야 한다. 왜냐하면 중독이 사슬을 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론 제시함

중독자들이 그들의 소비 행동에 어느 정도의 통제력을 행사한다.

약물값이 올라갔을 때의 소비 행동의 변화

그리고 일부 중독자는 약물에 대한 내성을 낮추어 그들이 원하는 정도의 절정에 이르는 데에

필요한 용량을 줄이기 위해 오랜 기간 동안 의도적으로 약물을 삼가기도 한다.

------------------------------------------------------ ( 2012-01-18 13:18 )

자기-통제력은 한정된 자원인가? -- 넘 멋진 파트였음

모든 사람들에게 지속적인 욕구에 저항하기 어려운 때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자아 고갈' !!!

자아 고갈 실험 - 한 쪽에게 자기-통제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피로를 유발시키는 과제를 줌(세 자리 곱셈)

또 한 쪽에게는 자아가 고갈될 만한 일(냄새 풀풀 풍기는 쿠키 먹지 않고 버티기, 웃긴 비디오 보면서 웃지 못하게 하기 ㅋㅋㅋ)

그 후 공통의 과제 수행하게 하는데 뭐 당연히 자기-통제 과제 수행했던 사람이 공통의 과제 수행하는데 문제가 있더라.

자아가 고갈된 상태의 다이어트 중인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실험 후에 더 많이 먹는다! 오올~

자아 고갈 실험은 자기-통제력이 한정된 자원이라는 것을 보여 주는 것 같다.

'자기-통제의 근육 모델' - 킹왕짱 멋짐.

자기-통제는 근육 강도와 같다.

이것을 사용하면 그 강도는 약해지고, 휴식을 해야만 다시 회복될 수 있다.

주석29. 자기-통제와 근육의 소모 간에 유사성 이상의 것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지적할 만한 가치가 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신체적' 자원의 고갈 또한 신경학적 기제에 의해 통제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운동 선수가 더 이상 계속할 수 없다고 느낄 때,

그 느낌은 근육에서 가용할 수 있는 자원 상태를 실제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자원을 보존하도록 고안되어 있는 뇌의 기제에 의해 만들어지는 느낌이다.


이와 같이 자기-통제는 특히 포도당을 고갈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다이어트에 초인적 의지가 필요한 이유네.

------------------------------------------------------ ( 2012-01-18 13:36 )

라벨:

0개의 덧글:

댓글 쓰기

에 가입 댓글 [Atom]

<< 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