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30일 월요일

2022-05-27 레슨 후 인벤션 8번

 01) 물 흐르듯이

딴에는 박자 맞춘다고 읏따, 읏따, 읏따! 거리고 있었음. 왼손 오른손 쿵짝 쿵짝 뒤뚱 뒤뚱

왼손은 왼손대로 물 흐르듯이, 오른손도 물 흐르듯이

왼손 따로, 오른손 따로 칠 때는 양손으로 칠 때 처럼 읏차 읏차 거리진 않잖어.

근데 물 흐르듯이 치려면 레가토로 칠 수 밖에 없는디

02) 논레가토인데 바쁘다고 스타카토로 때려 치거나, 아니면 어설픈 레가토로 치고 있다.

03) 주선율 살리라는데 솔직히 말해서 다 주선율 같다. 정박이 주선율이라는데 뒤로 가면 그것도 아닌 것 같고.. 그래서 공평하게 둘 다 살리지 않고 있다 잉?


첫 시작은 왼손이 주선율인 것 같다(내가 봐도). 곡 전체 이 주제가 반복된다. 오른손은 같은 주제를 꾸밈음으로 애살있게 표현한 것 같다.

A' 파트 - 태초 마을로 돌아왔다. 어 근데 묘하게 뒤집혀 있다. 분명 그 주제인데 상하 반전이거나 좌우가 반전되어 있다.
아으♡ 너무 좋다. 

이 쯤 되면 에셔 그림이 생각나고,
바흐에 에셔까지 나왔으면


이 책이 안 나올 수 없다. 아이고 다시 읽어봐야 하는데 엄두가 안 난다 엄두가.

이런 곡 작곡하는데 단순한 주제 하나만 정해지면 그냥 쉽게 뚝딱뚝딱 작곡했을 거 생각하니 참 신기하다. 인벤션 정도는 그냥 자기 애들이랑 어린 제자들 연습곡으로 힘 빼고 작곡했을 텐데 왜 뭐 하나 빠지지 않고 딱 맞아 들어가는 거 같지.
뭔가 머릿속에 굳이 힘들게 노력하지 않아도 아름다운 비율? 같은 것이 있는 모양이다. 나는 왜 없냐? 

04) B파트 왼손 살리기



레슨 이야기 하다가 잠시 딴데로 이야기가 샜다.
B파트에 왼손이 살지 않는다고 자꾸 지적 받는다 신경쓰자.


05) 항상 두 개의 선율 신경 쓰기
오른손이 바쁘거나 왼손이 바쁘면 다른 손 선율은 신경 쓰지 못 하고 그냥 오토파일럿으로 친다. 원장님은 귀신같이 잡아내신다. 아니지, 내가 너무 못 치는 건가.
인벤션도 이렇게 정신 없는데 신포니아는 어휴 3 선율 어떻게 일일이 다 신경 쓰고 치는 걸까 무섭다 무섭워.

2022년 5월 29일 일요일

2022-05-27 레슨 후 이번주 연습 목표

이번 주 목표  

01) 손가락이 건반에 들러 붙는 느낌이 나야함.

원장님은 손가락의 고리(?)가 건반에 철컥 걸리는 느낌이라고 설명 해주심. 

또는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요요'로 튕겨도 요요가 돌아오는 그런 느낌

?????

솔직히 잘 모르겠다. 그나마 손가락이 건반에 들러붙는 느낌은 손톱을 무리해서 짧게 깎았을 때 이다. 손톱 밑 살이 건반이 쩌억 달라 붙는 느낌. 

일상 생활이 불편할 정도로 손톱을 깎았는데도(물건 집는 게 어려움. 세균이 들어가는지 감염 징후 있음) 책상을 톡톡 쳐보면 손톱소리가 난다. 손톱이 먼저 부딪친다. 굳은살 생겨서 살이 뚱뚱해 지고, 계속 손톱을 괴롭혀서 손톱에 붙어있는 살을 떼고, 손톱을 더 짧게 깎고, 뭐 이런 루틴인 것인가. 

이번주는 손톱 말고 살로 건반 쳐보기에 집중해 보자.

--------------------------------------------------------------------------------

02) 화음 짚을 때 건반 끝까지, 작은 소리지만 풍부한 소리가 나도록.


원장님이 옆에 붙어서 말씀해 주시면 어 진짜 그런가 싶다가 집에서 혼자 쳐보면 ???? 이렇게 됨.

------------------------------------------

03) 4번째 손가락 독립 연습하기



'레슨 받기 전 8시간 연습하기' 프로젝트를 비장한 각오로 시작한다.


토 2시간

일 1시간

월 1시간

화 1시간

수 1시간

목 1시간

금 1시간 연습하고 레슨 받으러 가기, 집에 와서 레슨 받은 것 기록하기

이렇게 하면 딱 8시간 이다.

내가 계산해 보니 시간 쥐어짜면 평일은 2시간이 최대다.

평일 하루 빵꾸나면 다음날 죽는다고 생각해야 한다.

토요일 2시간 가능할 것 같지만, 벌써 어제 토요일 너무 중요한 일들이 많아(없었음) 피아노 뚜껑도 열지 않았다. 이번주 수욜 6월 1일이 지방 선거일이라 대체 휴무가 주어질 듯 한데 이 날 2시간 연습 하면 된다. ( 그럼 원래 1시간 더해서 3시간 연습해야 하는데 잘도 하겠다 흠 )

진도가 느린 것은 그러려니 한다. 워낙 고칠 것이 많으니까. 근데 연습 일주일 통틀어 2-3시간 해놓고 (그것도 영혼없는 설렁설렁 연습) 레슨 받으러 가는 것은 정말 아닌 것 같다. 

8시간이 적어 보여도 내 입장에선 되게 무리한 거다. 한 번 돌려보자. 진짜 연습시간 8시간 채울 수 있는지. 타이머 동원해서 실제 얼마나 연습하는지 체크해 볼 생각이다.



주간 목표 관리에서도 피아노를 가장 중요시 해서 제일 위에 올려 놨다.




 


라벨:

2022년 5월 25일 수요일

부대이북] 데이터 분석가의 숫자유감

 


리디셀렉트에 아티클 서비스가 존재할 당시 몇 번 재밌게 봤었는데 잘 정리된 한 권의 책으로 만나니 반갑다.
그림작가님의 작업이 마음에 들었다. 내용 잘 살리려고 고민 많이 하셨을 것 같다.

아무래도 가장 기억에 남는 목차는 '1화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일 것이다.

"특히 1940년대 보건 전문가는 소아마비와 아이스크림 섭취 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소아마비 예방을 위해 아이스크림을 적게먹을 것을 권고했다.하지만 한참 후에 단순히 소아마비가 여름에 많이 발병하고, 아이스크림도 여름에 주로 팔린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소아마비와 아이스크림 섭취 간에는 어떤 인과관계도 없었고, 그저 '날씨'라는 외생 변수가 소아마비와 아이스크림 변수에 공통으로 영향을 주었을 뿐이다."

소아마비와 아이스크림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는 기억에 오래 남을 것 같다.
(대대손손 좋은 이야깃거리로 남게 된 보건 전문가님 안되었다. 본인은 사명을 가지고 말했을 텐데 흑흑)

'요즘 마케팅본부에서 데이터 꼼꼼히 하면서 보고하기 시작한 거 참 좋긴 한데, 오히려 전보다 결과가 없는 같아요?' ---> 내 심정
멋진 작품을 이상하게 꼬아보게 되어 나 자신도 이상한 기분인데,
회사에서는 빠른 의사결정이 무엇 보다도 중요할 것인데, 
데이터 분석가는 책 한 권 동안 내내 "그 데이터는 의미 없다, 95% 신뢰구간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은 아니다" 라고 말을 하니, 아니 그럼 어쩌라는 건가 싶은 것이다. 

예를 들어 A/B 두 사안 중에 무엇을 선택하여 광고할 것인가 의사 결정을 (빨리) 해야 하는데 시종 일관 "더 오랜 기간의 관찰이 필요하다. 우연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 차이다. 데이터 상으로 의미가 없다." 이런 태도가 내내 지속되니 (작가가 데이터 분석가로 활동하면서 속 터지고 답답한 경우가 많아 이렇게 표현하셨겠지만 나 같은 문외한은 이상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나중에는 그럼 늬들(데이터 분석가)은 하는 게 뭔데? 일(아니면 중요한 의사결정) 다~ 끝나고 나서 마지막으로 정리하는 것만 할 수 있는 거니? 싶은 것이다.




라벨:

2022년 5월 24일 화요일

'그대로 말린 제주 감귤칩' 감귤차로 즐기기?

소개글에  '따뜻한 물에 넣어 감귤차로 즐기셔도 좋습니다.' 문구 보고 흥분해서 바로 실행해 봤는데 내상을 입고 말았다. 

그냥... 드시오... 따뜻한 물은 아니올시다.

소개글도 다시 보니 따뜻한 물에 넣는다고 사망에 이르지는 않는다 라는 느낌이다.




라벨:

마리골드와 잉글리시 라벤더 색상은 왜? 공홈에 없는가.

 

마리골드와 잉글리시 라벤더 색상은 왜 공홈에 없는 걸까?
워치 스튜디오에도 없다.


지마켓 빅-호구데이에 호되게 걸려 들어서 무지성 구입을 하고 말았다.


이 가격에 살 자신 없어 에라 모르겠다 하고 질렀는데 같은 45미리 밴드인데 누구는 36% 할인을 하고 누구는 8% 할인에 그친다 싶더니만, 공홈에 없는 색상은 36% 크게 할인 해주는 모양.

45mm면 애플워치7 부터 나온 밴드일 텐데, 왜 이런 걸까? 

아이폰 실리콘 케이스는 마리골드가 현역으로 뛰고 있다.

같은 애플워치7세대 밴드면서 1기, 2기가 있는 걸까 아니면 그냥 인기있는 색상이라 품절 되었나?


라벨:

2022년 5월 22일 일요일

iCloud.com에서 캘린더 시간 안 맞는 문제

 

컴퓨터에서 등록한 일정의 시간이 휴대폰에서 확인하면 엉뚱하게 나오는 문제로 고민했는데

iCloud 에서 오른쪽 상단에 내 이름 눌러 설정 화면으로 들어온 다음에

캘린더의 시간대를 지도를 눌러서 바꾸어 주어야 했다.

왜 Default 시간대를 미국으로 해놨는지 이해가 안된다.


애플 생태계에 적응하려고 몸부림 치고 있다. 나이 묵고 참 고생이다.

활동링 - 일어서기 목표를 10시간으로 낮췄다.

 


일어서기 한 두 번 놓치면 보통 신경 쓰이는 게 아니다.
목표를 10시간으로 낮췄다.
이러면 주말에도 해볼 만 할 것 같다.

현재 목표
움직이기 - 280킬로칼로리(270 --> 280)
운동하기 - 30분(변동없음, 앞으로도 계속 변동 없을 예정)
일어서기 - 10시간(12시간 --> 10시간)